나의 후원내역
후원하기
모금 캠페인
소망팔찌
활동
기후위기
LGBTI
여성
기업책무
양심 사상 표현의 자유
북한인권
분쟁지역 민간인보호
집회시위의 자유
인권옹호자(HRD)
사형
고문
난민/이주민
안보와 감시
참여하기
온라인액션
캠페인
인권교육
유스활동
회원활동
뉴스
보도자료
인권뉴스
뉴스레터
성명
언론상
소식
인재채용
공지사항
블로그
매거진
자료실
앰네스티
국제앰네스티 소개
세계 인권 현황 보고서
재정보고
구조와 정책
Contact
나의 후원내역
후원하기
모금 캠페인
소망팔찌
활동
기후위기
LGBTI
여성
기업책무
양심 사상 표현의 자유
북한인권
분쟁지역 민간인보호
집회시위의 자유
인권옹호자(HRD)
사형
고문
난민/이주민
안보와 감시
참여하기
온라인액션
캠페인
인권교육
유스활동
회원활동
뉴스
보도자료
인권뉴스
뉴스레터
성명
언론상
소식
인재채용
공지사항
블로그
매거진
자료실
앰네스티
국제앰네스티 소개
세계 인권 현황 보고서
재정보고
구조와 정책
Contact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사이트맵
FAQ
자료실
이메일구독신청
문의
Contact
태그
“집회시위의자유”
보도자료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 항소심도 유죄 판결, 평화 시위 권리에 대한 또 다른 공격
국제앰네스티는 오늘 항소심 재판부가 한상균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에 대한 형량을 감경한 것으로 한국 정부의 평화적 집회의 권리에 대한 불관용적 태도가 가려지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재판부는 2014 ~ 2015년 사이 일련의 시위에서의…
2016.12.13
블로그, 카드뉴스
국제인권기준에서 본 한국의 집회의 자유
2016.12.12
블로그, 칼럼
시험대 오른 평화집회 권리
로젠 라이프,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조사국장 서울고등법원은 다음주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의 항소심 판결을 앞두고 있다. 한 위원장과 함께 한국의 평화적 집회의 권리도 시험대에 올랐다. 지난 7월, 한 위원장은 1심에서 공공질서 저해 행위…
2016.12.12
블로그, 영상
깜빡이지도 마세요, 107초에 정리한 집회시위의 현실
한국에서 평화적 집회의 자유는 헌법으로 보장되지만 실제는 국제인권법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과중한 신고 절차, 돌발ᆞ긴급 집회 관련 규정 미비, 집회를 금지하거나 광범위한 제한 부과, 정부의 폭넓은 재량권, 주최자에게 지워지는 과도한 부담 등등 덧붙여 백남기…
2016.12.12
블로그, 칼럼
우리가 ‘백남기’인 이유
지난 9월 25일 백남기 농민이 하늘로 올랐다. 그가 죽음을 곁에 두고 사경을 헤맸던 317일, 경찰도 검찰도 그를 찾지 않았다. 그러나 그 날은 달랐다. 피해사실에 대한 부인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2016.12.8
블로그, 칼럼
비로소 열린 청와대 100m앞, 반갑지만 않다
– 그곳에서 다시 만나기 위한 조건 – 그토록 오고 싶었다. 우리 가족들이 그동안 이 막혔던 청운동 입구를 지나서 청와대 100미터 앞으로 행진하고 있다. 여기를 들어오고 싶어서 그 동안 우리 가족들은…
2016.12.8
온라인액션
이집트 사진기자, 시위를 취재하다 구금된 지 1000일
2013년 8월 14일 수요일 아침, 카이로 길목에서 시위 현장을 촬영하고 있을 때 경찰들이 오더니 거리를 통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는 거리에 있던 수천 명을 바로 체포했습니다. 마흐무드 아부 제이드 샤칸(Shawkan)으로 알려진…
2016.12.5
온라인액션
100번을 당해도 멈추지 않는 변호사
에렌 케스킨(Eren Keskin)은 변호사이자 전직 신문사 편집자로, 수십 년 동안 터키 정부를 비판해왔습니다. 특히 2014년 12세 소년이 정부군에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에렌은 이 사건을 두고 “정부가 12살 어린이를 참살했다”며 “터키…
2016.12.5
온라인액션
독립을 위한 춤으로 15년 형, 요한 테테리사를 석방하라!
2007년 6월, 초등학교 선생님인 요한 테테리사(Johan Teterissa)는 교사와 농민들로 이루어진 동료 22명과 인도네시아 대통령 앞에서 전통춤을 추고 깃발을 흔들며 평화적인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는 인도네시아 동부 말루쿠의 독립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경찰은…
2016.12.5
보도자료
국제앰네스티, 백남기 농민을 기억하는 다이 인(Die-in) 플래시몹 벌여
‘우리가 백남기다’ 14일 오후 6시 56분 종로 서린교차로 횡단보도에 초록색 보행신호가 켜지자, 흰색 우비를 입은 80여명의 시민들이 거리 위에 쓰러지는 장면을 연출했다. 경찰이 과도하게 물대포를 사용했던 지난해 11월 14일 민중총궐기…
2016.11.14
보도자료
[취재요청서] 앰네스티,백남기 농민을 기억하는 다이 인(Die-in) 플래시몹(국문/ENG)
“우리가 백남기다” 백남기 농민이 경찰의 물대포에 쓰러진 지 1년, 11월 14일(월) 18시 56분, 백남기 농민이 쓰러진 같은 시간 간은 장소에서 시민들이 모여 백남기 농민을기억하는 다이 인(Die-in) 플래시몹 퍼포먼스를 진행합니다. 장소:…
2016.11.11
인권뉴스, 뉴스
한국의 평화적 집회의 자유 보장 실태, 국제인권기준과 배치돼
국제앰네스티는 11월 5일 새로운 정책보고서 ‘국제인권기준에서 본 한국 내 평화적 집회의 자유’를 발표하며 평화적 집회의 자유를 보장해야 할 국제인권법 및 헌법상의 의무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내법 규정 및 관행은 국제인권기준에 미치고…
2016.11.8
1
7
8
9
10
11
18
당신의 관심은 우리가
행동할 수 있는 힘
입니다.
소식 받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합니다.
[보기]
소식 받기
더 나은 웹사이트 경험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쿠키(cookie)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국제앰네스티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확인하시려면
[클릭]
하십시오.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