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국가보안법: 안보의 이름으로 표현과 결사의 자유를 제약하다

2008년 이후 한국에서는 정부 정책, 특히 대북정책에 반대하는 것으로 보이는 개인과 단체에 국가보안법의 모호한 조항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해왔다.

국제앰네스티는 이 브리핑을 통해 국가보안법이 적용된 상징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고, 국가보안법이 비판의 목소리를 잠재우고, 의사·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비판적 논쟁, 학문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평화로이 행사하려는 개인 및 시민사회 단체를 괴롭히고, 기소하는 데 계속해서 이용되어 왔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보안법의 적용은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보호 및 한국의 국제 인권의무와 약속에 어긋난다.

국제앰네스티는 한국 정부, 새롭게 당선된 국회의원, 그리고 2012년 12월 대선에 출마한 후보들에게 국가보안법을 폐지하거나 한국의 국제적 인권의무 및 약속에 부합하도록 실질적으로 개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분류캠페인
중국은 북한 주민에 대한 강제북송을 멈춰라
온라인액션 참여하기
세상의 부당함에 맞서 싸웁니다
후원하기

앰네스티의 다양한 자료를 통해 인권을 쉽게 이해하고 인권활동에 함께해요.

당신의 관심은 우리가 행동할 수 있는 힘입니다.
이름과 이메일 남기고 앰네스티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