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10년 국제앰네스티 연례인권보고서 숫자로 보는 인권현황 (FACTS & FIGURES)

정의의 추구, 모든 사람의 모든 권리를 위하여

전 세계 사법적 정의의 간극이 수백만 명을 인권침해 상황으로 몰아넣고 있다. 그 누구도 법보다 위에 설 수는 없다. 하지만 너무나 종종 끔찍한 인권침해를 범한 이들이 사법적 심판을 받지 않곤 한다. 전 세계 리더들은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2010년 국제앰네스티 연례보고서는 전 세계에서 일어난 최악의 인권침해 사례를 밝히고 있다.

국제 사법적 정의에 대한 전 세계 리더들의 지지가 요구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인권침해는 계속될 것이다.

  • 192개국 중 81개국이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규정을 비준하지 않았다.
  • G20국 중 7개국이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규정을 비준하지 않았다.

2009년, 국제앰네스티는 다음 사실을 확인했다.

  • 최소 61개국에서 고문을 자행한 인권침해자들에 대해 처벌하지 않았다.
  • 최소 111개국에서 심문 중 고문이나 부당한 대우가 발생했다.
  • 최소 55개국에서 불공평한 재판이 이루어졌다.
  • 최소 96개국에서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었다.
  • 최소 48개국에서 양심수들이 수감되었다.

전 세계 리더들은 인권 보호에 실패하고 있다. 세계 리더십을 자처하는 국가들은 그에 알맞은 본보기를 세울 책임이 있다. 그러나 G20의 많은 국가들과 지역 기구들은 스스로 한 약속을 이행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 임시사무총장인 클라우디오 코르돈(Claudio ordone)은 “각국 정부는 그 누구도 법 위에 설 수 없다는 것과 모든 사람들이 모든 인권침해에 대해 사법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양심수들은 모든 국가의 30%, G20국가의 42%에 수감되어 있다.
  • ‘표현의 자유’는 모든 국가의 60%, G20국가의 53%에서 제한되었다.
  • 불공정한 재판은 모든 국가의 35%, G20국가의 47%에서 이루어졌다.

※ 참고사항
1. 국제앰네스티의 자료에 따른 인권침해국가들.
2. 국제앰네스티의 자료에 따른 G20국 중 인권침해국가들.
여기서 ‘모든 국가’란 [2010년 국제앰네스티 연례보고서]가 다룬 159개국을 의미한다. 보고서에는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이들 국가의 인권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G20국가’는 유럽연합을 제외한 19개 회원국을 의미한다.

분류캠페인
중국은 북한 주민에 대한 강제북송을 멈춰라
온라인액션 참여하기
세상의 부당함에 맞서 싸웁니다
후원하기

앰네스티의 다양한 자료를 통해 인권을 쉽게 이해하고 인권활동에 함께해요.

당신의 관심은 우리가 행동할 수 있는 힘입니다.
이름과 이메일 남기고 앰네스티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