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 인권 침해에 책임이 있는 다수의 범죄조직
- 포르토프랭스와 주변 지역에 만연한 극단적인 폭력과 협박
- 아녜스 칼라마르, “너무도 많은 아이티 아동의 삶이 파괴되고 있어”
국제앰네스티가 새 보고서를 통해 포르토프랭스와 주변 여러 지역에서 일어난 무자비한 범죄조직의 폭력에 아이티 아동의 유년기가 잔혹하게 공격당했다고 밝혔다.
새 보고서 〈“나는 어린이인데 왜 내게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아이티 아동의 유년기를 짓밟는 범죄조직들(“I’m a child, why did this happen to me?”: Gangs’ assault on childhood in Haiti)〉은 아동이 범죄조직으로의 징집, 강간을 비롯한 여러 형태의 성폭력, 납치, 살인과 부상 등 수많은 인권 침해를 당하고 있는 실태를 기록하고 있다. 장애 아동이 더 많이 겪는 피해에 관한 내용도 담았다.
2021년 7월 조베넬 모이즈Jovenel Moïse 대통령이 암살된 이후, 아이티에서는 무장 범죄조직들의 폭력이 크게 늘어나 작년에만 약 5천6백 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범죄조직들이 수도 포르토프랭스의 대다수 지역을 장악하고 있으며, 550만여 명에게 인도적 지원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범죄조직들이 아이티에 광범위한 고통을 불러왔다. ···
아동을 보호하고, 더 심한 폭력의 악순환을 막기 위해 아이티에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 아녜스 칼라마르 국제앰네스티 사무총장
아녜스 칼라마르Agnès Callamard 국제앰네스티 사무총장은 이렇게 말했다. “범죄조직들이 아이티에 광범위한 고통을 불러왔다. 그들은 아동을 위협하고 구타하고 강간하고 살해한다. 그리고 생명권, 교육권, 이동의 자유에 대한 권리 등 아동의 여러 권리를 침해했다.”
“너무도 많은 아이티 아동의 삶이 파괴되고 있으며, 그들은 보호나 정의를 위해 찾아갈 곳이 전혀 없다. 아이티 아동은 자경단들에게 쫓기고 때로 살해당하기도 하며, 당국은 아동을 임의로 구금한다. 이렇게 유년기를 도둑맞고 있다.”
“이제 아이티 당국 그리고 후원자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알맹이 없는 우려의 말로는 부족하다. 아이티 아동의 몸과 마음과 정신이 날마다 침해되고 있다. 아이티는 아동을 보호하고, 더 심한 폭력의 악순환을 예방하기 위해 시급한 지원이 필요하다.”
범죄조직이 장악했거나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은 1백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24년 9월 국제앰네스티 조사관들은 112명을 인터뷰하고 포르토프랭스에 방문했다. 인터뷰 대상자에는 아동, 정부 관리, 아이티 출신 및 외국인 구호 활동가, 그리고 유엔 직원들이 포함되었다. 조사 내용은 아이티 서부의 지역사회 8곳에서 일어난 위반사항 및 침해였다.
2024년 12월, 국제앰네스티는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Alix Didier Fils-Aimé 총리실에 서한을 보내 조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전달했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의 발표 시점까지도 답신은 오지 않았다.

국제앰네스티가 인권 침해 사례를 기록한 아이티 서부의 지역사회 8곳을 나타낸 지도.
강간과 성폭력
범죄조직의 일원들은 마을을 공격하는 동안 혹은 해당 지역을 장악한 이후에도 소녀들을 납치하고, 강간하고, 성폭행했다. 거리에 나와 있는 소녀들을 공격하고, 집에 있는 소녀들을 의도적인 표적으로 삼는 것은 흔한 일이다. 범죄조직 일원들은 ‘관계’를 맺고 소녀들을 성적으로 착취하는가 하면, 상업적 성commercial sex을 통해 성착취를 저지르기도 했다.
국제앰네스티는 범죄조직 일원들에게 강간을 비롯한 여러 형태의 성폭행을 당한 소녀 18명의 사례를 기록했다. 이들 중 일부는 한 번 이상 공격을 당했다. 10건의 사례에서 소녀들은 집단 강간을 당했고, 납치를 당한 사례도 9건이나 있었다. 국제법에 따르면 각국은 성매매를 포함해 성적 착취 및 학대로부터 아동을 보호해야 한다.
십 대인 두 자매는 학교에서 돌아오던 중 범죄조직 일원들에게 납치되어 집단 강간을 당했다. 한 명은 다섯 명의 남성에게, 다른 한 명은 여섯 명의 남성에게 당했다. 자매 중 한 명은 국제앰네스티에 이렇게 말했다. “그 일을 생각할 때면 이렇게 되뇌곤 해요. ‘나는 어린이인데, 왜 내게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강간을 당해 임신을 했다고 국제앰네스티에 말한 소녀들도 있었다. 아이티에서는 여전히 낙태를 범죄로 여기는 까닭에 몇몇은 원치 않은 임신을 중지시킬 최후의 수단으로 위험한 방법을 택하기도 했다.
거부하면 총으로 때려요. ··· 언젠가 총탄에 맞을지도 몰라요.
– 범죄조직 5 세곤의 일원들에게 위협을 당한 16세 소녀
2023년 12월, 까르푸-푀유Carrefour-Feuilles에 사는 17세 소녀는 어느 날 밤, 먹을 것을 사러 밖에 나갔다가 범죄조직 일원들에게 붙잡혔다. 검은 옷을 입고 얼굴을 가린 그들은 소녀를 어느 집으로 데려갔고, 거기서 다섯 명이 돌아가며 소녀를 강간했다. 소녀는 국제앰네스티에 이렇게 말했다. “그 사람들은 ‘설마 입을 뻥긋하지는 않겠지. 만약에라도 입을 놀리면 우리가 널 죽여버릴 거야.’라고 말했어요. 그러더니 저더러 가라고 했어요.” 자신이 임신했다는 사실은 나중에 알게 되었다. “그 일이 저를 망쳐 놨어요. ··· 아기가 생긴 저를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어요.”
상업적 성 행위에 얽힌 아동들은 성 착취의 피해자들이다. 범죄조직 5 세곤5 Segon이 장악한 한 지역에 살고 있는 16세 소녀는 자기 아이와 함께 먹을 것 없이 지내는 기간이 반복된 끝에, 결국 처음으로 범죄조직 일원과 상업적 성 관계를 맺게 되었다고 말했다. 소녀는 이렇게 말했다. “선택의 여지가 없어요. ··· 그들은 저를 보면 ‘가자.’라고 말해요. 거부하면 총으로 때려요. ··· 언젠가 총탄에 맞을지도 몰라요. 그들은 저를 잡고 발로 차기도 해요. 돈을 주는 사람도 있지만, 안 주는 사람도 있어요.”
범죄조직 일원들에게 성폭력을 당한 소녀들의 신체적, 심리적 회복을 위해서는 고도로 전문화된 의료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나마도 제한적이었던 아이티의 의료 서비스는 범죄조직의 공격 속에 더 파괴되었다.
아이티에서는 불처벌이 전반적인 분위기인 탓에, 생존자들은 정의를 얻기까지 여러 장벽에 부딪힌다. 범죄조직이 장악한 지역에서는 법 집행 요원들이 없는 까닭에 인터뷰에 응한 생존자 다수는 자신이 당한 공격 사실을 신고할 의사가 없었다. 2023년에 몇몇 범죄조직 일원에게 납치되어 강간을 당했고, 2024년에도 한 범죄조직 일원에게 성폭행을 당했던 한 소녀는 이렇게 말했다. “경찰이 없어요. ··· 마을을 이끄는 윗사람들이 다 범죄조직의 일원이에요.”

16세 소녀가 국제앰네스티에 2024년에 한 범죄조직 일원에게 성폭행을 당했던 일을 설명하고 있다.
“너는 싫다고 말할 수 없다”: 범죄조직의 아동 징집
국제앰네스티는 범죄조직에 징집되어 이용당한 소년 11명과 소녀 3명을 인터뷰했다. 그들은 경쟁 상대인 범죄조직 및 경찰을 감시하거나, 물건을 배달하거나, 집안 허드렛일과 건설 노동 및 차량 수리를 맡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착취당한 일을 설명했다. 14명의 아동 모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면서, 대부분 두려움이나 배고픔 때문에 지시를 따랐다고 했다.
한 12세 소년은 그랜드 래빈Grand Revine이라는 범죄조직 일원들의 강요로 정보원이 되었다고 말했다. “제가 그 일을 하지 않았다면 그들은 저를 죽였을 거예요.” 십 대 초반의 또 다른 소년은 한 범죄조직의 강요로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데 쓰는 총을 운반해야 했다고 했다. 그는 국제앰네스티에 이렇게 말했다. “제가 무슨 일을 했든 진심으로 한 게 아니었어요. 제가 하는 일이 뭔지도 몰랐어요. 제가 총을 들었던 건 남을 해치려는 게 아니라 스스로 생계를 꾸리려고 한 것이었어요.”
명령을 거부해 구타와 위협을 당한 아동들도 있었다. 한 17세 소녀는 범죄조직 티 브와Ti Bwa의 일원들이 자신들의 여자친구들에게 줄 선물을 사오라고 하고 집 청소도 시키고는 겨우 미화 2달러 정도를 주었다고 했다. 소녀는 이렇게 덧붙였다. “때로 ’그건 하기 싫어요.’라고 말하면, 그들은 제게 소리를 지르면서 이렇게 말해요. ‘윗사람이 뭘 시키면 너는 그걸 해야 한다. ··· 싫다고 말할 수 없다.”
제가 그 일을 하지 않았다면 그들은 저를 죽였을 거예요.
– 정보원이 되어야만 했던 12세 소년
유엔과 시민사회 단체들은 ‘브와 케일Bwa Kale’ 운동으로 알려진 자경단 단체들에 의해 범죄조직에 연루된 것으로 보이는 아동과 성인들이 살해된 사례들을 기록해 왔다. 몇몇 아동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보복이 두려워 범죄조직과 얽혔던 사실을 감추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한 소년은 이렇게 말했다. “누군가 손가락으로 저를 가리키면 목숨을 빼앗길 수도 있어요.”
정부는 범죄조직들에게 징집되어 이용당한 것으로 보이는 다수를 포함해 수십 명의 아동을 구금하고 있다. 이들과 함께 성인 구금자들까지 한 과밀한 시설에 한데 구금하고 있는데, 원래 이곳은 소년들의 재활을 위한 시설이었다. 조사 당시 유죄 판결을 받은 소년은 아무도 없었다. 2019년에 포르토프랭스 소년 법원의 기능이 멈췄기 때문이다.
아이티의 범죄조직들이 저지르는 아동 징집과 이용은 국제법과 국내법이 금지하는 일이다. 다른 여러 학대 중에서도 이는 아동을 인신매매의 피해자로 만든다.

2024년 2월, ‘바비큐’라는 가명으로도 알려진 범죄조직 리더 지미 체리지어(Jimmy Cherizier)가 포르토프랭스에서 G-9 연합 범죄조직 일원들과 거리를 순찰하고 있다.
살인과 부상
아동은 범죄조직이 마을에 침입했을 때 빈번히 살인과 부상을 당하곤 한다. 범죄조직이 장악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무차별적이고 직접적인 포화를 당할 위험에 놓인다. 국제앰네스티는 부상을 입은 아동 10명, 범죄조직이 연루된 폭력 및 관련 사건으로 인해 살해된 아동 2명의 사례를 기록했다. 그들의 나이는 5세에서 17세 사이였다. 최소 두 사례는 범죄조직과 경찰 사이의 교전과 관련되었다.
악몽을 꾸고, 잠을 못 자요. 제가 봤던 장면이 자꾸 떠올라요.
– 총구를 겨누는 위협을 당했던 13세 소녀
한 14세 소녀는 2024년 9월에 집 근처에서 한 범죄조직 일원이 쏜 총알이 스쳐 지나가 자기 얼굴을 관통했던 일을 설명했다. 소녀는 이렇게 말했다. “여긴 조용한 동네가 아니에요. 항상 문제가 터져요. 총성이 너무 많이 울려요. 그 소리를 견딜 수가 없어요.” 소녀의 남자 형제는 3개월 전에 목숨을 잃었는데, 그 또한 같은 동네에서 발포된 유탄이 초래한 일이었다.
이러한 일들은 아동의 정신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한 13세 소녀는 범죄조직 일원들이 총구를 겨누고 가족들을 위협하고 집을 잿더미로 만든 날의 장면이 자꾸만 생생히 떠오른다고 했다. 소녀는 이렇게 말했다. “시체들을 봤어요. ··· 악몽을 꾸고, 잠을 못 자요. 제가 봤던 장면이 자꾸 떠올라요. 전에는 아무 문제 없이 공부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힘들어요.”
장애 아동들
장애가 있는 아동은 폭력을 피해 달아날 때 더 큰 위험에 놓인다. 몸을 움직이기도 불편한 데다 보조 장치를 포기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국제앰네스티는 신체적 장애와 심리사회적 장애가 있는 아동 등 장애 아동 11명을 인터뷰했다. 조사관들은 장애 아동이 접근하기 어려운 조건을 갖추고 있는 이주 현장 곳곳을 기록하고, 장애 아동을 위한 학교 1곳과 진료소 1곳을 겨냥한 공격에 관해서도 기록했다.
여전히 많은 생존자는 삶이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을 품고 있다. 저격병의 총에 맞아 한쪽 다리를 잃은 한 소년은 이렇게 말했다. “제 인생이 이런 이야기로 끝나는 것은 아니에요. ··· 제 삶이 달라졌으면 해요.”
제언
범죄조직에 연루된 아동은 무엇보다도 피해자다. 국제앰네스티는 후원자를 비롯한 국제사회가 아이티 당국 및 시민사회와 협력해 변화의 통로를 설계함으로써 인권에 기반한 장기적인 해법을 도출하고, 더 심각한 폭력의 악순환을 예방하길 촉구한다.
아녜스 칼라마르는 “아이티 정부 및 국제 후원자들은 포괄적이고 포용적인 아동 보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선순위로 삼아야 할 일은 범죄조직에 연루된 아동들을 효과적으로 해산시켜 재통합하는 한편, 성폭력 생존자들에게 포괄적인 보건 지원과 법률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아이티 정부는 중대한 인권 침해와 위반 사항에 대한 기소를 담당할 특별 재판부를 신속히 창설해 불처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범죄조직들의 광범위한 침해를 가능하게 하는 대규모 무기 유입을 통제해야 한다. 또한, 범죄조직들의 공포 조장 및 더 광범위한 인권 위기가 계속되는 한, 각국은 아이티인들의 강제 추방을 멈춰야 한다.”
국제앰네스티의 조사 활동을 지원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