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류

확산탄 투자철회 캠페인 집중행동주간 함께 참여해요! (5.20~26)

“라마단 기간이었어요. 우린 저녁식사 중이었죠. 딸애가 종교음악회 간다고 나갔는데 집 밖에 나가자마자 큰 굉음이 들렸어요. 동생이 오렌지 밭에 놀러 나갔다가 무슨 장난감처럼 생긴 뭔가를 발견한 모양이었어요. 자라는, 그것이 피라미드 모양의 뚜껑이 달린 알록달록한 박스처럼 생겼다고 말했어요. 그 애가 잡자마자 폭발해야 엄지손가락이 날아가 버렸어요. 이웃들이 손수건에 손가락을 담아서 우리에게 가져왔는데, 마치 다시 붙이면 원래대로 될 것만 같았죠”

– 확산탄 피해자, 자라 후세인 수판(12세, 레바논 남부)의 어머니 이야기, ‘죽음의 비 확산탄을 금지하라’에서 발췌 –

2009년 1월, 이스라엘 군대가 가자지구에 백린탄을 떨어뜨리는 것을 보여주는 알자지라 방송의 한 장면 ⓒ Al Jazeera

하늘에서 뿌려지는 모습이 꼭 ‘내리는 비’처럼 보인다고 붙여진 확산탄의 또 다른 이름, ‘죽음의 비’. 비와 같이 흩뿌려져 광범위한 지역에 무차별적으로 피해를 주어 확산탄 피해자의 98%이상이 민간인이며, 자라와 같이 불발탄을 실수로 만져 사망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잃는 일들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확산탄 투자철회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국민연금이 무차별살상무기인 확산탄을 생산하는 한화와 풍산에 대한 투자를 철회하고, 확산탄 등 비인도무기 생산기업이 투자윤리지침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5월 20일부터 26일까지, 공동행동은 [확산탄 투자철회 캠페인 집중행동주간]을 통해 더 많은 시민들을 만나 이 문제점을 알리고 거리 서명을 받을 예정입니다.

더 이상 자라와 같은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당신의 국민연금이 이런 살상무기 투자에 운용되지 않도록 집중행동주간에 함께 참여해요!

확산탄 투자철회 캠페인 종로중구지사 앞 ©무기제로

확산탄 투자철회 캠페인 ©무기제로

 

 

 

 

 

 

 

 

1. 일시 및 장소

공동행동 확산탄 투자철회 캠페인 집중행동주간

일시

5/20 (월)

5/21(화)

5/22(수)

5/23(목)

5/24(금)

5/25(토)

5/26(일)

장소

여의도역 5번 출구 앞

청계광장 인권영화제 부스

명동 명랑시장 커뮤니티마당 (외한은행 앞)

비고

*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는 23일(목)과 26(일), 24일(금)에는 성공회대학교 안에서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캠페인 예정입니다.

2. 참여문의: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최하늬(hanui.choi@amnesty.or.kr, 070-8672-3393/010-5573-1497)

업데이트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는 13개의 연대단체(국민연금 확산탄 투자철회 공동행동)와 함께 지난 5월부터 약 2달간 확산탄 투자철회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캠페인 집중행동주간을 포함해 이 기간 동안 국민연금이 무차별살상무기인 확산탄을 생산하는 기업의 투자를 철회하라는 거리서명 및 온라인탄원을 받았습니다. 총 1,969명이 참여한 탄원은 5월 28일 국민연금 재정과에 전달되었습니다.

중국은 북한 주민에 대한 강제북송을 멈춰라
온라인액션 참여하기
세상의 부당함에 맞서 싸웁니다
후원하기

앰네스티의 다양한 자료를 통해 인권을 쉽게 이해하고 인권활동에 함께해요.

당신의 관심은 우리가 행동할 수 있는 힘입니다.
이름과 이메일 남기고 앰네스티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