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양심적 병역거부’가 후보자 등록 자격을 제한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양심적 병역거부’가 후보자 등록 자격을 제한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입장

양심적 병역거부는 세계인권선언 제18조 ‘사상ㆍ양심ㆍ종교의 자유에 대한 권리’와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이하 본 법률)에서 보장하는 권리이다.  2018년 6월 28일 헌법재판소가 병역법 제5조에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리고 2019년 본 법률이 제정되기 이전,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군복무를 대체할 수 있는 특별한 조치를 제공받지 못하고 병역법으로 처벌되어 실형에 처해졌다. 이는 유엔자유권위원회가 반복적으로 한국정부에 권고해 온 인권침해 사안이기도 했다.

양심적 병역거부 사실이 ‘후보자 부적격 사유’로 규정되고, 이로 인해 피선거권을 제한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것 역시 병역거부자에 대한 인권침해이다. 유엔 자유권규약 제25조(정치 참여와 투표권)는 ‘어떤 차별이나 불합리한 제한 없이 선거에 참여할 권리’를 선언한다. 일반논평 제25호는 이 규약에 대해 ‘선거권 박탈의 근거는 객관적·합리적이어야 하고, 범죄에 대한 유죄 판결이 선거권을 정지시키는 근거가 될 경우 정지 기간은 범죄와 형량에 비례해야 한다’고 해석하고 있다.

이는 또한 양심적 병역거부자와 군복무자에 대한 차별대우로, 모든 권리의 향유에 있어 비차별의 원칙은 자유권규약 제2조 제1항 및 제2조 제2항, 또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사회권규약) 제2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다. 한국 정부는 자유권규약 제2조 제1항에 따라 “자국의 영토 내에 있으며, 그 관할권 하에 있는 모든 개인에게 인종, 피부색, 성, 언어, 종교, 정치적 또는 기타의 의견, 민족적 또는 사회적 출신, 재산, 출생 또는 기타의 신분 등에 의한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없이 이 규약에서 인정되는 권리들을 향유하도록 보장”할 의무를 가진다. 이 권리에는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포함된다.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는 선거에 참여하는 모든 정당이 국제인권규범에 근거하여 후보자를 선출할 것을 요구한다. 국민을 대표하여 입법 권력을 가지는 국회의원은 국제인권규범에 부합하는 절차를 통해 선발되어야 한다.

배경

군대 내 인권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동해온 ‘군인권센터’ 전 소장 임태훈은 더불어민주연합 국민후보 추천 심사위원회(이하 심사위)에 의해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후보로 추천되었다. 3월 13일,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임태훈이 “제2차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의결한 부적격 사유 중 ‘병역기피’에 해당하여 부적격 처리’ 하였다며 그에게 후보 부적격 사실을 통보했다. 이에 3월 15일 심사위는 임태훈을 재차 비례대표 후보로 추천했다.

중국은 북한 주민에 대한 강제북송을 멈춰라
온라인액션 참여하기
세상의 부당함에 맞서 싸웁니다
후원하기

앰네스티의 다양한 자료를 통해 인권을 쉽게 이해하고 인권활동에 함께해요.

당신의 관심은 우리가 행동할 수 있는 힘입니다.
이름과 이메일 남기고 앰네스티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